
자녀에게 아파트 물려줄 땐 매매보단 '증여’
부동산 가격이 향후 더 높아질 가능성에 대비해 자녀에게 상속 전에 부동산을 미리 넘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 경우 자녀에게 어떤 방식으로 넘길지에 대해 고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이 두 채인데 그 중에 15년 전 5억원에 취득해 현 시세가 30억원인 아파트 한 채를 자녀에게 매매 또는 증여로 넘겨주고 싶다고 가정해보자.
자녀에게 매매한다면 양도세는 약 7억9000만원으로 예상된다. 증여한다면 증여세는 약 9억9000만원으로 추정된다. 이때 양도세와 증여세만 단순 비교해 잘못된 선택을 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매매는 물물교환으로 그 자체로는 부의 이전 효과가 없다. 따라서 자녀에게 매도해 받은 자금은 추후 다시 증여나 상속을 통해 자녀에게 넘어간다. 즉, 양도세를 부담한 뒤 추후 매매자금에서 양도세를 차감하고 남은 금액에 상속·증여세가 또 부과되는 것이다.
반면 증여는 무상으로 넘기는 것으로 당장의 증여세 부담은 2억원 더 많다. 하지만 자녀에게 추가적인 상속·증여세 부담 없이 30억원의 아파트를 온전히 넘겨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녀 한 명만이 아니라 자녀 부부 두 명에게 분산 증여할 때 증여세율을 낮출 수 있어 증여세는 약 8억3000만원으로 줄어든다. 이 경우 매매에 비해 약 4000만원만 더 부담하면 온전히 넘겨줄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성인인 손자까지 포함해 세 명에게 증여한다면 증여세는 약 7억3000만원으로 더 줄어 오히려 자녀에게 매매할 때보다 증여 시 세금이 약 6000만원 덜 나온다. 매매 후 재차 증여나 상속까지 감안하면 이 차이는 더욱 커진다.
물론 매매할 때 저가 양도할 수는 있지만 위 사례의 경우 3억원까지만 할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금액에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단순히 당장의 양도세와 증여세만 비교해서 선택하기보다는 매도 후 자금의 증여나 상속까지 고려해 결정하는 게 좋다.
- 한국경제 <김수정의 절세노트>에서
[모르면 손해 부동산 세금] 1주택인 줄 알고 팔았는데 양도세 폭탄
양도세·취득세 모르면 수억원 손해볼 수 있다 지난해 12억원에 아파트를 판 김모(58)씨는 올해 양도소득세 1억4000만원을 냈다. 매도 시점에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아 양도세를 내
solsol1004.tistory.com
해외 거주 자녀에게 증여하면 어떻게 세금이 매겨질까?
해외 거주 자녀에게 증여하면 어떻게 세금이 매겨질까? ▷ 5억을 아들 증여했더니 세금 1억, 미국 사는 딸 증여하면? 70대 A씨는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아들, 딸에게 각각 5억 원을 미리 증
solsol1004.tistory.com
부동산 무상임대, 증여세 과세 대상 될 수 있다?
부동산 무상임대 시 꼭 알아두어야 할 점 - 세법에선 무상임대로 얻은 이익도 증여 간주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며 가족 명의의 주택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사회 초년생이 늘
solsol1004.tistory.com
'세금상식 절세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세팁] 계좌이체보다 카드로 세금 내고 다양한 혜택 누려요 (0) | 2025.02.19 |
---|---|
상속세 신고하면 반드시 세무조사 받는 까닭은? (0) | 2024.11.11 |
부동산 양도세 절세법 ‘필요경비 활용하기’ (0) | 2024.09.10 |
부동산 무상임대, 증여세 과세 대상 될 수 있다? (0) | 2024.09.09 |
정년 앞두고 알아야 할 퇴직금 절세법 (0) | 2024.09.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