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주식용어82 '골렘 효과 vs 호손 효과' 뜻과 차이점 ▶ 골렘 효과(Golem Effect) 골렘 효과는 타인의 부정적인 기대와 관심이 성과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뜻한다. 부정적인 관점을 갖고 누군가를 대하면 점점 그 부정적인 기대에 맞춰 성장하게 된다는 의미다. 골렘은 과거 16세기 유대교 율법학자인 로위가 창조한 골렘 설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유대인을 보호하기 위해 창조됐던 골렘이 점차 흉포한 성향으로 변해 모든 것을 파괴한 데서 가져온 용어다. 골렘 효과는 개인부터 기관, 시장, 대중 매체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기업 내 성과를 낮추는 대표적인 부정적 현상이다. 가령, 회사 상사나 학교 교사가 부하직원이나 학생에 대해 별로 기대를 하지 않을 경우 이들의 성과나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기대 수준이 낮으면 상대방도 노력을 않고 성과도 .. 2024. 7. 20. 에펠탑효과(단순노출효과) 뜻과 사례 에펠탑 효과(Eiffel Tower Effect, 단순노출효과) • 에펠탑 효과 뜻 에펠탑 효과(Eiffel Tower Effect)란 처음에는 싫어하거나 무관심했지만 대상에 대한 반복노출이 거듭될수록 호감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자주 보면 정들고, 정들면 좋아지게 마련인 것이죠. 에펠탑 효과는 ‘단순노출효과(Mere exposure effect)’라고도 합니다. • 에펠탑 효과의 유래 1889년 프랑스 대혁명 100주년과 파리만국박람회를 기념하여 알렉상드르 귀스타브 에펠이 건립한 에펠탑은 건립계획이 발표되었을 당시 파리의 많은 예술가들과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고풍스러운 고딕 건물로 이루어진 도시에 무게 7,000톤, 높이 320미터나 되는 철골 구조물은 천박하다고 여겨졌기 때.. 2024. 7. 14. [주식용어]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뜻 이해하기 밸류에이션(가치평가) 이해하기 미국 증시가 사상최고치 부근에서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전망을 둘러싸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강세론자들은 S&P500 기업들의 향후 12개월 주당순이익(EPS)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어 상승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중략)반면 약세론자들은 최근 경제지표가 약화되는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어 앞으로 기업들의 실적 가이던스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증시 밸류에이션이 너무 높다고 지적한다.- 2024.7.2. 머니투데이 밸류에이션(Valuation)이란? 밸류에이션은 애널리스트가 현재 기업의 가치를 판단해 적정 주가를 산정해 내는 기업가치평가이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애널리스트들은 기업의 경영진, 자본구조의 구성, 미래수익의 전망 및.. 2024. 7. 6. 펀더멘털(펀더멘탈) 뜻 이해하기 펀더멘털(Fundamental) 이해하기 - 국가 경제상태를 나타내는 데 쓰이는 펀더멘털 펀더멘털(Fundamental)이란 영어 단어는 본래 ‘기본적인, 근본적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펀더멘털이 경제용어로 쓰이면 특정 국가, 기업 등의 경제 상태를 표현하는 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자료를 뜻하게 됩니다. 국가에 있어 펀더멘털이란 국가 경제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거시적·미시적 경제지표를 말합니다.한 나라의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주요한 거시경제 지표로는 경제성장률, 물가 상승률, 실업률, 경상수지 등이 있습니다.미시경제 지표로는 금리와 환율, 외환보유고, 소비자물가, 생산자 물가, 통화 공급량 등이 있겠습니다. “대외 불안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은 튼튼합니다.”라는 표현처럼 국.. 2024. 7. 6. 이전 1 2 3 4 5 6 7 ··· 2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