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벌레 이론
아케고스 마진콜보다 무서운 '바퀴벌레 이론'
미국 금융당국이 긴장하는 것은 이번 사태가 아케고스로만 그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벌써부터 월가에서는 금융위기 당시 한동안 나돌았던 ‘바퀴벌레 이론(cockroach theory)’이 다시 거론되고 있다. 이 이론은 부엌 싱크대에서 발견된 바퀴벌레는 벽이나 바닥에 숨어있는 떼의 한 마리에 불과하다는 것으로, 금융 시스템으로 번지는 것을 잘 설명해 준다.
- 한국경제 2021.4.4
바퀴벌레 한 마리 발견은 벽 뒤의 엄청난 떼 암시
바퀴벌레 이론은 악재가 발생한 경우 그 뒤에 더 많은 악재가 줄줄이 이어질 수 있다는 이론으로, 주로 증권가에서 활용된다.
바퀴벌레는 무리를 지어 사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집에서 한 마리만 발견되어도 벽장이나 찬장 등 보이지 않는 곳에 훨씬 많은 바퀴벌레가 숨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금융 시스템에 비유한 것이다.
바퀴벌레 이론에서 바퀴벌레는 보통 기업의 부진한 실적, 오너의 부도덕성, 경영진의 무능 등이 꼽힌다. 이 이론은 금융위기 당시 많이 거론됐으며, 2021년 아케고스 사태가 발생했을 때 아케고스의 마진콜로 인한 헤지펀드 위기설을 설명하면서 언급됐다.
한편으로는 바퀴벌레 이론이 투자자들의 투자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분기 영업이익을 발표했는데, 그 규모가 예상과 달리 낮다면 기업 내에 또 다른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아 실적 부진으로 이어져 단기간에 그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어렵겠다는 짐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핵심 정리]
바퀴벌레 이론은 표면으로 드러난 하나의 악재 뒤에는 더 심각한 악재들이 숨겨져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주로 증권가에서 쓰이는 용어인데, 기업의 부진한 실적, 오너의 무능 등의 바퀴벌레가 결국에는 기업에 타격을 입히고 결국에는 금융 시스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를 뜻한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경제용어] 르네상스의 핵심 ‘메디치 효과’ 유래와 뜻, 사례
'메디치 효과' 유래와 뜻, 사례 서로 관련이 없을 것 같은 이종 간의 다양한 분야가 서로 교류, 융합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뛰어난 생산성을 나타내고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을 ‘메디
solsol1004.tistory.com
'골렘 효과 vs 호손 효과' 뜻과 차이점
▶ 골렘 효과(Golem Effect) 골렘 효과는 타인의 부정적인 기대와 관심이 성과를 떨어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뜻한다. 부정적인 관점을 갖고 누군가를 대하면 점점 그 부정적인 기대에 맞춰 성장하게
solsol1004.tistory.com
[경제용어] 커버드콜(Covered Call)
커버드콜(Covered Call) 이름에 프리미엄 적혀 있지만, 사실은 콜옵션 파는 커버드콜 전략 상품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상장지수펀드(ETF) 이름을 지을 때 투자자들의 오해를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이
solsol1004.tistory.com
'경제주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기저효과와 피셔효과 (0) | 2024.11.14 |
---|---|
[경제용어] 경기 침체 징후를 파악하는 ‘샴의 법칙’ (0) | 2024.11.13 |
코리아 밸류업 지수의 뜻, 코스피200과의 차별점 (0) | 2024.10.10 |
[경제용어] 뱅크런, 펀드런, 본드런 (0) | 2024.10.07 |
[경제용어] 듀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0) | 2024.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