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5

전기요금 절약팁,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기 전기요금 절약팁, 에너지캐시백 신청하기 한국전력이 주택용 전기요금 부담완화를 위해 7월분 전기사용 절감량부터 에너지캐시백을 대폭 증액 지급한다. 전기사용 절감률에 따라 1㎾h(킬로와트시) 당 최대 100원을 돌려준다. ▷ 에너지캐시백 신청, 온라인으로 접수 한전은 6월 7일부터 올여름 에너지캐시백 제도 신청을 온라인으로 접수받는다고 밝혔다. 주택용 에너지캐시백 제도는 제도 적용 당월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7월분에 한해서는 6월부터 미리 신청할 수 있다. 한전은 오는 8월 31일까지 신청한 고객도 소급 적용한다. 접속지연이 발생하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신청해달라고 당부했다. 7월부터는 기존에 지급하던 절감량 1㎾h당 30원의 기본캐시백에 더해 절감량 1㎾h당 30~70원의 '차등캐시백'을 추가해 최대.. 2023. 6. 10.
포브스 선정 ‘2023 한국 최고 부자’ 1위는? 포브스 선정 ‘2023 한국 최고 부자’ 1위는? 이재용·김범수 다 제치고 부자 1위는 김병주 포브스가 매년 발표하는 ‘대한민국 50대 부자’ 순위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변이 일어났다. 국내 최고 부자 자리에 사모펀드 전문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올랐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재벌가가 1위를 차지했던 데 비해 2021년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 회장, 2022년 김범수 카카오 의장에 이어 올해 김병주 회장까지 자수성가 부자들이 대한민국 부의 지도를 바꾸고 있다. 포브스는 대한민국 50대 부자의 총자산이 지난해 1300억 달러에서 1060억 달러로 18% 감소했다고 산출했다. 그 배경은 원화 약세와 함께 한국 주식시장이 지난 12개월 동안 아시아에서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코스피.. 2023. 5. 19.
[주식용어] 상승 전환? 반짝 반등? 데드캣 바운스 [주식용어] 상승 전환? 반짝 반등? 데드캣 바운스 데드캣 바운스(Dead Cat Bounce)란?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다가 잠깐 반등하는 상황을 비유할 때 쓰이는 말로, 고양이에 비유한 것이다. 즉, 폭락장 가운데서도 가끔 주가가 튀어오르는 것을 '죽은 고양이가 꿈틀한다'는 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Even a dead cat will bounce if it falls from a great height (죽은 고양이도 아주 높은 곳에서 떨어지면 튀어 오른다).' 라는 월가의 증시 격언에서 유래된 것이다. 또한 월가에서는 '죽은 고양이의 반등을 조심하라.' 는 말이 자주 언급되곤 하는데, 이는 특별한 이유 없이 반등하는 경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한줄 요약 데드캣 바운스(.. 2023. 5. 17.
[금융Tip] 소상공인·프리랜서 목돈 마련 ‘노란우산공제’ [금융Tip] 소상공인·프리랜서 목돈 마련 ‘노란우산공제’ 목돈 마련 외 추가 소득공제 및 사업자 상해보험 가입 등 혜택 요즘처럼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자영업자·프리랜서의 가장 큰 고민은 일을 그만두게 되거나 더 이상 할 수 없는 상황이 됐을 때 목돈 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회사로부터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직장인과 달리 퇴직금도 기대하기 어렵고 고정 수입이 없는 탓에 대출을 받기도 쉽지 않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서는 이 같은 소상공인의 고충을 고려해 ‘노란우산공제’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노란우산공제가 어떤 제도인지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 노란우산공제란? 노란우산공제는 소기업, 소상공인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제도로, 중소기업중앙회가 운영하고 중소벤처기업부가 감독하는 공적 공제 .. 2023. 5. 17.
[세금상식] 집 한 채 물려받아도 상속세 내나요 집 한 채 물려받아도 상속세 내나요 이별의 순간에도 세금은 피할 수 없죠. 돌아가신 분에게 집 한 채 물려받았다면 아파트 가격이 얼마일 때부터 상속세를 내야 할까요? 상속세를 내야 하는 아파트 가격부터 상속세 외에 낼 수 있는 세금까지 살펴보겠습니다. ■ 아파트 가격 10억원 미만, 상속세 내나요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재산에서 채무와 상속공제를 빼고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상속재산 전체에 대해 과세를 하고 남은 금액을 상속인끼리 나눠 가지는 구조인데요. 채무가 없다는 가정 하에 상속공제가 어떻게 적용되냐에 따라 상속세액이 결정됩니다. 10억원의 주택 한 채를 상속받으면, 배우자와 자녀가 있을 때 최소 10억원이 공제돼 상속세가 나오지 않습니다. 반면 배우자만 있거나 자녀만 있다면 공제 금액이 줄어들어 .. 2023. 5. 16.
국민연금 보험료, 이런 경우 국가가 지원해줍니다 알아두면 유용한 국민연금 보험료 국가 지원제도 국민연금 보험료를 국가가 지원해 주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알면 쏠쏠하게 도움되는 연금보험료 지원 제도를 소개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과 비슷하게 국민연금도 직장인은 사업장가입자로, 그 외에는 지역가입자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현재 소득의 9%로, 사업장가입자는 연금보험료의 절반(4.5%)을 회사에서 부담해주고 있습니다. 사업장가입자는 소득의 4.5%만 부담하는 셈이죠. 하지만 지역가입자는 소득의 9%를 모두 본인이 부담하는 구조입니다. 정부는 저소득 지역가입자와 영세 사업장 근로자들을 위한 연금보험료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1. 폐업, 실직, 휴직으로 인한 납부예외 지역가입자 보험료 50%까지 지원 정부는 2022년 7월부터 국민연금 .. 2023. 5. 15.
국민연금 더 받으려면 가입기간이 중요해요 '국민연금' 더 받으려면 가입기간 중요 - 국민연금, 퇴직 이후에도 계속 내면 유리 퇴직 후 소득이 없으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계속 납부하면 든든한 ‘평생 월급’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의 근로자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하는 나이는 평균 49.3세이다. 퇴직 후에도 국민연금 의무 납부기간인 만 60세까지 10년 넘게 연금보험료를 낼 수 있는 셈이다. 퇴직해 소득이 없어도 만 60세 미만이라면 국민연금 납부 대상자다. 이때 배우자의 상황에 따라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의무’ 대상자인지 아닌지가 달라진다. 배우자가 소득이 있어 공적연금에 가입했거나, 연금을 수령한다면 국민연금 보험료를 의무적으로 내지 않아도 된다. 반면 배우자가 공적연금을 가입·수령하지 않는다면 국민연.. 2023. 5. 13.
고용노동부 '2023 한권으로 통하는 고용노동 정책' 발간 고용노동부 발간 고용노동부가 2023년 시행하는 각종 지원사업과 제도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책자를 발간했다. 고용노동부가 발간한 책자 은 11개 카테고리 총 170개의 각종 지원사업과 제도를 소개하고 있다. 고용 분야에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모성보호 육아지원, 구직자 도약보장 패키지, 기업 도약보장 패키지, K-디지털 트레이닝, K-디지털 플랫폼 사업 등이 자세히 소개돼 구직자들이 필요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했다. 노동 분야에서도 노사파트너십 프로그램 지원, 지역 노사민정 협력 활성화 지원, 대지급금제도, 체불청산지원 사업주 융자, 체불근로자 생계비 융자, 무료법률구조지원 사업 등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산업안전 분야에는 산업예방시설 융자,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2023. 5. 5.
반응형